본문 바로가기
블로그 및 에드센스 관련

블로그 이미지에 링크 넣기

by ㅇ ㅗㅇ 2025. 2. 10.

너무 기본 적인 거라서 그냥 넘어가려고 했는데 복잡한 방법으로 하시는 분도 계신 것 같아서 적어보기로 했다.

 

예전에 홈페이지 꾸밀 때 포토샵 같은 곳에서 작업해서 링크까지 걸어가지고 멋지게 만들 기도 했었지만 블로가 생기면서 거의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. 개인 홈페이지는 방분개도 별로 없고 홍보 없이 노출도 거의 안 되기 때문에 

 

보통 사업적으로 홈페이지 운영하지 않는 이상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다. 그런 경우 에디터를 따로 사용하거나  아니면 만들어진 걸 구해서 사용하거나  아니면 코딩을 자기가 할 줄 안다든가 

 

아무튼 그런 거 안 해도 이미 우리나라 블로그들은 사용하기 편리하게 다 만들어져 있다. 기본 적으로 그런 게 안돼있으면 짜증 나서 사용을 안 해버리기 쉽기 때문에 웬만한 기능 거의 기본적으로 있다고 보면 된다. 

 

이미지의 특정 영역에만 링크를 넣고 싶은 경우는 이미지를 조각내서 표 안에 넣으면 되지만 그것도 별로 의미가 없다. 왜냐하면 홈페이 버튼 같이 그런 게 아니고 서야 이미지에 커서를 갔다 대는 순간 누르면 연결되는 제일 사용자가 편하고 링크가 있는 이미지라는 걸 알아채기 쉽다.  어떤 이미지는 커서모양이 바뀌거나 해서 링크가 있는 이미지 인지 안닌지 구분이 되고 네이버의 경우 이미지 아래의 한쪽에  링크 모양이 있었던 것 같다. 

 

 

블로그 글쓰기를 누르면 에디터가 불러와지는데 에디터 이미지를 넣고 그다음에 이미지 위에 커서를 위치시키거나 클릭하면 작면 작은 상자하나 나올 것이다. 거기서 링크(체인 모양) 클릭하고  (https:// ~~~~)로 시작하는 주소를 복사해서 url을 붙여 넣기하고 확인하면 간단하게 끝난다. 

 

이미지란? (그림 사진 등 시각적으로 연상하고 나 볼 수 있는 것에 속하는 것쯤  되는 것 같다.)

 

클릭 전 이미지다. 

 

 

 

 

 

클릭 후

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의 작은 상자가 나온다.

이미지 링크 걸기를 설렴 하기위해 블로그 캡쳐한 화면이다.

 

 

이미지에 링크걸기 이해  부홍색으로 표시해 둔 링크 아이콘을  클릭하며  URL 써넣는 곳이 나오고 여기에 주소를 복사해 넣으면 된다.

네이버도 거의 비슷하다 디자인이나 색상 정도 차이는 있지만.

 

 

 

반응형

댓글